2014년 10월 17일 금요일

XY Rain Party Lecture - What is Rain Party?

비팟은 말그대로 포켓몬에서 필드상태인 '비'를 통해 이득을 얻을 수 있는 포켓몬들을 중심으로 파티를 구성하는 것입니다.
비팟은 5세대 때 '잔비'특성의 등장으로 모래팟과 함께 엄청난 전성기를 누렸던 파티입니다.
왕구리를 필두로한 비팟은, 킹드라, 로파파, 독개굴, 핫삼, 라이코 그리고 파라섹트 등등이 사용되었고
무한 수면 파라섹트는 파티에 적절한 카운터가 없다면 6마리가 전부 쓸려나가는 경우도 있었습니다.
비록 6세대에서 잔비의 하향으로 그 영향력이 줄어들었으나 여전히 매력적인 특징을 가진 파티임은 분명합니다.
이 강의는 비팟에 대한 기본적인 지식부터 구체적인 개별 결정력에 이르는 모든 것을 세 편에 나누어 다룰 것입니다. 


가장 먼저. 필드상태를 비로 만드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여긴 두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첫째는 '비바라기'를 이용하는 것이고, 두번째는 '잔비'특성인 포켓몬을 이용하는 것입니다.

우선 비바라기는 pp5의 보조기로 필드에 비가 5턴 동안 오게 하는 기술입니다.
http://www.serebii.net/attackdex-xy/raindance.shtml에서 배울 수 있는 포켓몬들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몇몇 불타입을 포함한 상당히 폭 넓은 녀석들이 배울 수 있습니다.
비바라기에 대해 몇 가지 추가적인 점이라면,
아이템 '축축한 바위'를 지닌 상태에서 사용할 경우 비가 오는 턴이 8턴으로 증가하게 됩니다.
비가 오는 턴은 기술이 사용된 턴을 포함하며, 마지막 턴의 경우 턴이 종료된 뒤 비가 멈추게 됩니다.

다음으로, 잔비는 포켓몬이 필드에 나오게 되면, 필드에 자동으로 비가 5턴 동안 오게 되는 특성입니다.
이 특성을 가지고 있는 것은 가이오가와 왕구리인데, 가이오가가 대부분의 게임 룰에서 금지 되어 있는 것을 감안할 때,
현실적으로 잔비를 이용해 비를 뿌릴 수 있는 것은 왕구리 하나 뿐입니다.
-> 특성 잔비(Drizzle)로 비를 뿌리는 왕구리

잔비에 대하여 몇 가지 추가적인 점이라면,
동일한 우선 순위를 가진 특성은 스피드를 기준으로 발동되기 때문에, 가뭄이나, 모래날림, 눈퍼트리기 특성의 포켓몬과 같은 턴에 필드에 나오게 되었을 경우, 스피드가 빠른 녀석의 특성이 먼저 발동되고, 스피드가 느린 쪽의 특성이 나중에 발동되어, 결국 스피드가 느린 쪽 포켓몬의 특성만 유효하게 됩니다.
아이템 '축축한 바위'를 지닌 상태로 필드에 나올 경우 비가 오는 턴이 8턴으로 증가하게 됩니다.
비가 오는 턴은 포켓몬이 등장한 턴을 포함하며, 마지막 턴의 경우 턴이 종료된 뒤 비가 멈추게 됩니다.


이제 직접적으로 필드상태 '비'에 대해 설명해보겠습니다.
비는 말그대로, 필드상태기로, 모래바람, 싸라기눈, 쾌청과 같은 다른 날씨 관련 기술과 동시에 사용될 수 없습니다.
만약 비가 오는 중 다른 날씨 관련 기술이 사용된다면 비의 효과는 사라지게 됩니다.
비가 그치기 전까지 비바라기나 잔비를 사용해 턴을 다시 증가시키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비'의 효과는 크게 4가지로 나뉩니다.
첫째, 물 타입 기술의 위력이 1.5배, 불 타입 기술의 위력이 절반이 됩니다.
비의 가장 기본적인 효과입니다. 물 타입 기술 1.5배 상승은 자속 하이드로펌프를 247.5의 고위력기로 만들어줍니다.
불 타입 기술 위력을 절반으로 깎아주는것은 핫삼이나 너트령 등 불에 약점을 찔리는 녀석들을 좀 더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해줍니다.
경우에 따라서는 약점보험을 낮은 위험부담으로 터트리는 용도로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둘째, 솔라빔의 충전 시간이 2턴으로 늘어나고 위력이 절반이 되며, 웨더볼의 타입이 '물'이 되면서 위력이 2배로 상승합니다.
기술에 위력을 미치는 효과입니다. 잔비 왕구리를 상대가 솔라빔을 쓰는 턴을 예측하야 사용해주면 상대는 다음턴까지 솔라빔을 충전해야 하게 되며 다다음턴에 맞아도 간지럽기 때문에 대타를 준비하는 등 배틀을 상당히 유리하게 가져갈 수 있게 됩니다.
또한 비는 웨더볼의 위력을 2배인 100으로 상승시켜 줍니다.
웨더볼을 사용하면 비가 오는 중 파도타기보다 조금 더 높은 위력을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됩니다.
http://www.serebii.net/attackdex-xy/weatherball.shtml 에 웨더볼을 배울 수 있는 녀석들이 나와 있습니다.
하지만 물 타입 중에는 웨더볼을 배우는 녀석이 721번 볼카니온 하나 밖에 없을 뿐더러.
실질적으로 불 반감을 제외하면 비에서 혜택을 받을 수 있는 녀석은 라이코 하나 밖에 없습니다.
그나마 이 라이코도 4세대 시절 이로치 라이코 배포만 특수기로 가지고 있기 때문에 실전에서 보기는 참 힘든 기술이라 하겠습니다.

-> 웨더볼을 사용하는 라이코, 가운데 하얀 구가 푸른 빛으로 바뀌어 상대를 공격한다.

셋째, 번개와 폭풍이 무조건 명중하게 됩니다.
불안한 70이라는 명중률을 가진 번개와 폭풍이 회피율,명중률과 상관없이 무조건 명중하게 됩니다.
http://www.serebii.net/attackdex-xy/thunder.shtml 에 번개를 배우는 포켓몬이 나와 있고
http://www.serebii.net/attackdex-xy/hurricane.shtml 에 폭풍을 배우는 포켓몬이 나와 있습니다.
썬더나 볼트로스등이 폭풍을 배워준다면 자속을 이용한 번개 폭풍 난사가 가능했겠지만 안타깝게도 배우지 않습니다.
번개와 폭풍을 동시에 배울 수 있는건 루브도를 제외하면 망나용이 유일합니다.
비팟 특수어태커들이 채택하여 안정적으로 강력한 데미지를 주는 것이 가능합니다.

과거 4세대에서는 비가 오는 중이면 번개가 상대가 방어를 하더라도 30% 확률로 타격이 들어 갔으나
버그였는지 이후 세대에서는 그 기능이 사라졌습니다.

넷째, 광합성, 달의불빛, 아침햇살의 회복량이 절반이 됩니다.
만약 상대편의 깔짝이 이 기술을 사용해 회복한다면 회복기를 거의 무용지물로 만들어줄 수 있습니다.
괜찮은 효과긴 하지만 세 기술이 모두 그리 많이 보이는 기술은 아니기 때문에 그리 크게 체감할 일은 없습니다.
현재로서는 기껏해야 메가 이상해꽃의 광합성 정도가 보이겠군요.



이제 마지막으로, 비의 영향을 받는 특성들을 알아보도록하겠습니다.
비의 직접적으로 영향을 받는 특성은 다섯 가지가 있습니다.

첫번째는 '건조피부' 입니다.
http://www.serebii.net/abilitydex/dryskin.shtml 에 건조피부 특성을 가진 녀석들이 나와있습니다.
 건조피부는 물과 관련되면 강해지고 불과 관련되면 약해지는 특성이라고 보면 되는데요,
이 특성을 가진 포켓몬은 불 타입 기술에 1.25배의 데미지를 받게 되고, 날씨가 쾌청이면 매 턴 체력의 1/8이 감소하게 됩니다.
반대로, 물 타입 기술을 맞게 되면 데미지를 입지 않으면서 체력의 1/4를 회복하고, 날씨가 비라면 매 턴 체력의 1/8을 회복하게 됩니다. 

비가 오는 상황이라면 먹다남은음식 등을 지닌채로 방어 + 대타만 하더라도 체력 회복량이 대타 감소량보다 더 많게 됩니다.
대타 관련해서 여러 용도로 쓰일 수 있는데다 메이져한 타입인 물에 대한 확실한 받이도 생기게 되는 특성입니다.

현실적으로 비의 턴이 8턴으로 제한되면서 깔짝 형인 파라섹트는 운용하기 조금 힘들어진 면이 있지만
건조피부 4종 모두 각각 특성에 맞춰 사용해볼만한 녀석들입니다.


두번째는 '기분파' 입니다.
기분파 특성을 가진 것은 캐스퐁이 유일합니다.
이 특성은 다른 특성과 관련된 기술의 영향을 받더라도 캐스퐁만이 유일하게 적용 받을 수 있는 특성입니다.
캐스퐁의 모습이 변하면서 물 타입으로 변하게 됩니다.
 
그냥... 그렇습니다. 현실적으로 쓰일 일도 없기 때문에 그냥 그런겁니다. 네

세번째는 '쓱쓱'입니다.
http://www.serebii.net/abilitydex/swiftswim.shtml 에 쓱쓱 특성을 가진 녀석들이 나와있습니다.
게임 내에 가장 많은 포켓몬이 가지고 있는 특성이기도 합니다.
이 특성을 가진 포켓몬은 비가 오는 동안 스피드 실 스탯이 두배가 됩니다.
이건 랭업기와는 별개로 작용하는 스탯 상승으로 스피드 6랭업을 받을경우 스피드 8배가 가능합니다.
비라는 조건을 이용해서 고스핏, 고화력으로 상대를 처치하는 용도로 주로 쓰입니다.

이 특성으로 잘 쓰이는 멤버는 킹드라 / 로파파 정도를 들 수 있습니다.


네번째는 '젖은접시'입니다.
http://www.serebii.net/abilitydex/raindish.shtml 에 젖은접시 특성을 가진 녀석들이 나와있습니다.
이 특성을 가진 포켓몬은 비가 오면 매 턴 체력의 1/16을 회복하게 됩니다.

위험부담이 없는 건조피부라고 할 수 있는데요, 비의 턴 제한이 생긴 관계로 운용하기 무척 힘들어진 특성 중 하나입니다.
하지만 여전히 다른 회복 아이템과 중첩되어 사용되면 생존 턴 수를 늘리는데 기여하는 특성입니다.

이 특성으로 잘 쓰이는 멤버는 거북왕 / 독파리 정도를 들 수 있습니다.


다섯번째는 '촉촉피부'입니다.
http://www.serebii.net/abilitydex/hydration.shtml 에 촉촉피부 특성을 가진 녀석들이 나와있습니다.
이 특성을 가진 포켓몬은 비가 오는 턴의 끝에 상태이상을 회복합니다. 단, 비가 그치는 턴에는 회복하지 않습니다.
여기서 말하는 상태이상은 '독, 맹독, 얼음, 마비, 잠듦, 화상' 만을 말하는 것으로 혼란을 비롯한 상태변화는 포함하지 않습니다.

이 특성은 기본적으로 효과 자체도 좋지만, 잠자기와의 시너지 효과 때문에 빛을 발하는 특성입니다.
잠자기를 사용하면 체력을 100% 회복한 뒤 턴이 끝날 때 깨어나게 되기 때문에 잠자기를 아무 부담 없이 사용할 수 있게 됩니다.
이 점을 이용하여 여러 랭업기를 조합한 깔짝형이나 화력형 포켓몬이 사용되고는 합니다.

이 특성으로 잘 쓰이는 멤버는 라프라스 / 마나피 정도를 들 수 있습니다.


 이상으로 비팟과 관련된 기본적인 지식인, 비가 무엇인지, 비의 혜택, 비와 관련된 특성등을 다뤄 보았습니다.
다음 글에서는 이 글을 토대로 비팟을 구성하는 법에 대한 강의를 해보겠습니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