켓몬을 강의나 샘플 등을 보다보면 결정력, 내구력에 대한 얘기가 나오고는 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결정력과 내구력이 무엇인지, 어떻게 계산하는지, 어떤 의미를 가지는지에 대해 써보고자 합니다.
Part.1 - 결정력과 내구력은 무엇인가?
결정력과 내구력은 각 포켓몬이 상대에게 얼마나 데미지를 줄 수 있는지,
어느정도의 데미지를 받아낼 수 있는지를 간단한 수치로 정리한 것입니다.
결정력은 포켓몬의 공격력(특수공격력)×기술(레벨 50기준)의 위력으로 계산되며
내구력은 포켓몬의 체력×방어력(특수방어력)÷0.411으로 계산됩니다.
결정력과 내구력을 통한 데미지 계산은 결정력÷내구력을 하면 몇 %가 다는지를 계산해낼 수 있습니다.
Part.2 - 결정력과 내구력은 어떻게 산출하는가?
결정력과 내구력을 산출하기 위해서는 우선 포켓몬의 데미지 공식을 알아야 합니다.
데미지 공식은
{(레벨×2÷5+2)×공격력(특수공격력)×기술위력÷방어(특수방어)÷50+2}×부가효과×난수
입니다.
레벨은 말그대로 포켓몬의 레벨이며, 기술위력은 포켓몬이 사용한 기술의 위력, 부가효과는 상성이나 자속, 생명의구슬 등 최종적으로 데미지에 영향을 미치는 효과들을 말합니다. 다음으로 난수는 0.85~1까지 숫자가 하나 랜덤으로 정해지게 됩니다.
공격/방어와 특수공격/특수방어의 경우 적용되는 수치만 다르고 계산 방식은 같으므로 공격/방어를 기준으로 식을 풀어보도록 하겠습니다.
레벨을 배틀스팟 공식룰에서 사용되는 50레벨을 기준으로 계산하면
(22×공격력×기술위력÷방어÷50+2)×부가효과×난수
가 됩니다.
식을 조금 정리하면
{0.44×(공격력×기술위력)÷방어+2}×부가효과×난수
가 되고 이 식의 결과가 적의 체력을 달게하는 수치이기 때문에 전체 수치를 체력을 나눠주면 데미지 퍼센트가 나오게 됩니다.
[{0.44×(공격력×기술위력)÷방어+2}×부가효과×난수÷체력×100]%
식을 살짝 정리해주면
[{0.44×(공격력×기술위력)÷(방어×체력)+(2÷체력)}×부가효과×난수×100]%
가 됩니다.
이때 난수에 0.85와 1의 중간 수치인 0.925를 넣어주면
[{0.407×(공격력×기술위력)÷(방어×체력)+(1.85÷체력)}×부가효과×100]%
식을 한번더 정리해주면
[{(공격력×기술위력)÷(방어×체력÷0.407)+(1.85÷체력)}×부가효과×100]%
결론적으로 아까 Part.1에서 제시했던것과 같은 결정력과 내구력이 산출되었습니다.
단 이때, 공격력과 기술위력 앞에 수가 0.411이 아니라 0.407임을 발견할 수 있는데요.
이는 (1.85÷체력)부분이 데미지에 추가되는 것을 감안하여 계수에 조금의 추가 수치를 넣은 것입니다.
그 값이 감안되어 0.407이 0.411로 계산됩니다.
여담으로 보통 레벨 100상태의 결정력을 계산할 때 레벨 50때 곱하는 0.411의 단순 두배인 0.822를 계산하라고 합니다.
그런데 사실 이 수치는 내구력 결정력 자체가 50레벨을 기준으로 만들어져서 (1.85÷체력)부분이 끼치는 영향이 레벨이 높아질수록 효과가 적어지는 것을 감안하지 않은 계산입니다.
실제로 0.822를 이용해 데미지 계산을 하게 되면 오차가 실제 데미지와 5퍼 이상으로 상당히 심각하게 발생합니다.
레벨 100의 내구력 결정력을 위해서는 계수를 0.78 정도를 사용하는 것이 좀더 정확한 내구력, 결정력 계산에 도움이 되지만 대중적인 결정력이 이미 0.822로 계산되어 있어서 바꾸기는 힘들 것 같습니다.
이상으로 내구력과 결정력이 저렇게 나오게 된 과정을 설명했습니다.
일반적으로 방어를 통해 산출된 내구력을 '물리 내구력',
특수 방어를 통해 산출된 내구력을 '특수 내구력' 이라고 부릅니다.
또한 몇몇 특이케이스를 제외하고는 물리와 특수기를 동시에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보통 결정력은 물리 특수를 구분하지 않고 부르지만 가끔 구분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Part.3 - 결정력과 내구력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방금 계산해본 데미지 계산 공식과, 결정력, 내구력을 통해서 알 수 있는 것은 크게 네가지로 정리할 수 있습니다.
1.결정력과 내구력은 상황별 데미지를 파악하기 위한 좋은 수단이다.
각 포켓몬들의 결정력과 내구력을 숙지해둔다면, 각 상황에서 어느정도의 데미지를 입힐 수 있을지 몇 타가 날지 어림잡아 계산해볼 수 있습니다.
결정력을 내구력으로 나눈 수치는 몇 %의 체력이 깎이는지를, 내구력을 결정력으로 나눈 뒤 소수점 첫째 자리에서 반올림하면 몇타를 때려야 상대를 쓰러트릴 수 있는지 파악할 수 있습니다.
ex) 고집 공 252에 구애머리띠 파이어로의 브레이브버드의 결정력은 39420 이다.
이 때 상대가 팬텀이라고 가정한다. 팬텀의 물리 내구력은 33090이다.
33090÷39420=0.839...≒1 이므로 팬텀은 브레이브버드에 1타가 난다.
이렇듯 데미지가 어느정도인지 파악이 된다면, 지금 이 상황이 교체를 해야하는 상황인지, 상대를 공격해야 하는 상황인지, 회복해야 하는 상황인지 등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물론 한 포켓몬에 어느정도로 익숙해진다면, 대부분의 화력 계산은 굳이 내구력, 결정력을 따지지 않더라도 경험상으로 대강 알게되고, 그 쪽이 좀 더 편리하지만, 새로운 포켓몬을 사용하게 될때를 비롯한 여러 상황에서 유용하게 사용되는 수치입니다.
2. 결정력과 내구력은 완전한 수치가 아니다.
난수를 중간값으로 계산했고, (1.85÷체력) 부분을 적당한 수치로 집어넣었기 때문에 결정력이 내구력보다 크다고 해서 반드시 1타가 나는 것도 아니고, 내구력이 결정력보다 크다고 해서 반드시 1타가 안나는 것도 아닙니다.
ex) 겁쟁이에 체력 4를 준 메가 Y 리자몽은 물리 내구력이 36720이다.
이 때 상대가 고집 공 252의 한카리아스라고 가정하자.
한카리아스의 기술 중 가장 결정력 높은 기술은 역린인데 역린의 결정력은 36000이다.
Y리자몽이 내구력이 더 높으므로 리자몽은 역린에 한 방에 쓰러지지 않을 것이라고 판단할 수 있으나, 실제로는 난수에 따라 37.5%의 확률로 Y리자몽은 1타에 쓰러지게 된다.
아까 난수를 중간 수치인 0.85와 1의 중간 수치인 0.925를 넣어주었기 때문에 0.925의 역수를 곱해서 실제 내구력, 결정력 계산에서 나오는 값의 92%~108%의 데미지를 오차범위로 넣어준다면 조금더 오차를 줄인 정확한 수치를 얻을 수는 있지만 이 역시 (1.85÷체력) 부분의 존재 때문에 정확한 수치는 아닙니다.
그러므로 내구력과 결정력이 미묘한 세세한 계산의 경우
http://pokemonshowdown.com/damagecalc/ 를 이용하면 확실하게 계산할 수 있습니다.
3. 자속이나 상성을 단순하게 기술 위력에 곱한 수치로 파악해서는 안 된다.
단순 기술의 위력과, 상성, 자속등의 부가효과로 데미지가 상승된 기술의 수치가 같을 경우, 상성이나 자속등의 부가효과를 받은 기술 쪽이 조금 더 쎄며,
또한 반대로, 단순 기술의 위력과, 상성상 반감으로 데미지가 하락된 기술의 수치가 같을 경우, 단순 기술의 위력이 조금 더 쎄다는 것입니다.
ex) 기합구슬과 섀도우볼을 공격기술로 가진 팬텀이, 왕구리를 공격할 경우 - 기합구슬의 위력은 120, 섀도우볼의 위력은 80 자속을 받아 120이므로 흔히들 같은 데미지를 줄 것이라고 생각하지만 실제로는 평균적으로 섀도우볼이 1의 데미지를 더 준다.
이는 (1.85÷체력)부분에 곱계산이 이루어지기 때문인데요, 실제로 차이나는 데미지는 0~2정도로 미미하지만 동시에 상대 포켓몬을 쓰러트릴 수 있느냐 못 쓰러트리느냐를 가를 수 있는 유의미한 수치이기도 합니다.
4. Lv.50 대전과 Lv.100 대전에서 다른 모든 조건이 같아도 데미지의 기대치가 같지 않다.
데미지 계산식을 보면 (1.85÷체력) 부분은 체력을 제외한 다른 어떤 조건에도 영향을 받지 않고 데미지에 적용이 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이 수치는 체력이 낮을수록 그 수치가 커지게 됩니다. 다른 말로, 레벨을 제외한 모든 조건히 완전히 같은 두 포켓몬이라도 둘다 레벨이 100일 때보다, 두 포켓몬이 레벨이 50일 때 더 큰 데미지를 주게 됩니다.
ex) 고집에 공 252 메가 캥가가 바랜드에게 은혜값기를 쓸 경우,
둘 다 레벨이 100일 경우 데미지는 85.8%~101.2%로 6.3%의 확률로만 1타가 나지만
둘 다 레벨이 50일 경우 데미지는 86.8%~103.7%로 18.8%의 확률로 1타가 난다.
그렇기 때문에 위의 데미지 계산기를 사용할 때도, 레벨을 맞추지 않으면 미묘하게 다른 결과가 나올 수 있기 때문에 정확한 결과를 원한다면 레벨을 50으로 맞춘 뒤 사용하셔야 합니다.
이상으로 데미지 계산 방식과, 내구력, 결정력에 대해 대략적인 요소부터 게임에 미치는 세세한 요소까지 알아봤습니다. 궁금한 점은 덧글로 달아주세요!
댓글 없음:
댓글 쓰기